상담사례 상세정보

노무사 > 급여/노무사건 > 부당해고

부당해고 당했었는데요

벌써 10년도 더 됐네요
쌍용자동차 사건이 터지고 저는 부당해고 당했으며 퇴지금도 일체 받지 못했습니다
아직도 공장에서 농쟁하던 때가 생각나면 소름끼치고 싫은데 불연듯 드는 생각이 퇴직금을 받지 못한 분한 마음입니다
너무 오래됐고 이제와서 퇴직금을 받아낸다는 건 어불성설이겠지요?

조회수 387신고

권병훈 노무사 외 답변 1개

20분 전화상담

20,000원

30분 방문상담

50,000원

서면상담

150,000원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이며, 공소시효는 5년입니다.

단순히 10년이라는 시간으로 볼경우 소멸시효도과로 청구가 어려울것으로 사료됩니다.

다만 재판상 청구등 소멸시효 중단에 해당하는 사유가 존재한다면 달리볼 여지도 존재합니다.

15분 전화상담

15,000원

30분 방문상담

50,000원

서면상담

50,000원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그동안 구제신청이나 청구 등을 하지 않으신 이유가 오히려 궁금합니다.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으셨기 때문에 일반적인 답변 밖에 드릴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혹여 참고로 하실 내용을 알려 드리니 관련성이 있고 도움되는 부분이 있다면 전문가 상담을 한 번 해보시어 억울한 부분이 해소될 수 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부당해고 부분 : (1)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 제척기간은 해고된 날로부터 3개월 이내 입니다.
(2)법원에 민사상 해고무효확인 소송은 청구기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해고된 날부터 10년 정도 된 상태에서
해고무효확인의 소를 제기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다만, 기간이 상당히 경과된 경우 실효의 원칙이나 신의성실 원칙에 위배 등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기간내에 어떤 상태에 있었는지, 다른 고용관계가 있었는지 등도 따져보게 될 것입니다. 질의하신 분의 경우 억울한 부분이 있고, 기간 내에 특별한 사정 등이 있었다면 여러 고려 요소도 있을 수 있을 것 이므로 구체적인 내용으로 직접 전문가 상담을 받으시는 것이 도움이 될 걸로 여겨집니다.
2.퇴직금 부분 : 임금과 퇴직금의 소멸시효는 3년이며, 공소시효는 5년입니다. 그러나 민법상 불법행위 손해배상 청구의 소멸시효는 10년입니다. 질의하신 내용으로 부당해고 등 억울한 부분이 있다고 하니, 혹여 임금채권이 아닌 손해배상 청구 등으로 접근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 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해보시면서 직접 전문가 상담을 부당해고 부분과 같이 받아 보시는 것도 분한 마음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회사명 윈윈솔루션(주)

대표자 윤영하

사업자등록번호 424-81-01994

통신판매업신고 제2020-서울은평-2137호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7길 10, 2층(퍼스트빌, 역촌동)

Tel    02-313-7101

Copyright ⓒ 2021 WIN-WIN SOLUTION CO.,LTD. All Rights Reserved.